Try something new for 30 days
Is there something you've always meant to do, wanted to do, but just ... haven't? Matt Cutts suggests: Try it for 30 days. This short, lighthearted talk offers a neat way to think about setting and achieving goals.
www.ted.com

30일 동안 새로운 목표를 실천해보자!
A few years ago, I felt like I was stuck in a rut, so I decided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the great American philosopher, Morgan Spurlock, and try something new for 30 days.
몇 년 전, 저는 반복되는 일상에 무료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위대한 미국 철학자 모건 스펄록처럼 30일 동안 새로운 일을 도전해보기로 한 것이죠. (* 모건 스펄록은 30일 동안 삼 시 세끼 맥도날드를 먹는 다큐멘터리, 슈퍼사이즈 미의 주인공이다)
Be (stuck) in a rut
- to live or work in a situation that never changes, to that you feel bored
- 매번 똑같이 반복되는 삶과 일에서 지루함을 느낌
Follow in somebody's footsteps / Follow in the footsteps of N
- To do the same thing as someone else did previously
- 따라 하다
- 전철을 밟다는 과거의 잘못된 선택이나 행동을 되풀이하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어서 1:1로 대응해서 외우면 안 될 것 같다
The idea is actually pretty simple.
Think about something you've always wanted to add to your life and try it for the next 30 days.
It turns out 30 days is just about the right amount of time to add a new habit or subtract a habit -- like watching the news -- from your life.
방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항상 해보고 싶었던 일을 30일 동안 하면 되는 것이죠.
30일이라는 시간은 새로운 습관을 들이거나 뉴스시청과 같은 예전 습관을 버리기에 충분한 시간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Turn out
- to be known or discovered finally and surprisingly
- ~ 인 것으로 밝혀지다, 드러나다
There's a few things I learned while doing these 30-day challenges.
The first was, instead of the months flying by, forgotten, the time was much more memorable.
This was part of a challenge I did to take a picture every day for a month.
And I remember exactly where I was and what I was doing that day.
I also noticed that as I started to do more and harder 30-day challenges, my self-confidence grew.
I went from desk-dwelling computer nerd to the kind of guy who bikes to work. For fun!
Even last year, I ended up hiking up Mt. Kilimanjaro, the highest mountain in Africa.
I would never have been that adventurous before I started my 30-day challenges.
30일 동안 도전하면서 배운 게 몇 가지 있습니다.
이전에는 한 달이 그냥 무의미하게 스쳐지나갔었다면, 무언가를 도전했던 한 달은 하루하루가 기억에 남았습니다.
이건 제가 한 달 동안 매일 사진 찍기를 실천하면서 찍은 사진 중 하나입니다.
전 매일 어디에 있었고, 또 그날 무엇을 했는지 기억할 수 있게 되었죠.
또 열심히 30일 도전을 이어나가면서 제 스스로 자신감이 높아졌다는 것도 느꼈습니다.
과거에는 하루 종일 컴퓨터만 끼고 살았다면, 지금은 자전거를 타고 회사도 가고요. 그저 재미를 위해서 말이죠.
심지어 작년에는 아프리카에서 제일 높은 킬리만자로 산 등정에도 성공했습니다. 전 이렇게 도전적인 사람이 아니었어요.
Go from A to B
- From one place to another
- A의 상태에서 B의 상태가 되다, A에서 B로 가다
End up ~ ing
- to finally be in a particular place or situation
- 안하고 미루다가 결국 하게 되다
- 마침내 ~ 하게 되다
- 결국 이렇게 되다
I also figured out that if you really want something badly enough, you can do anything for 30 days.
Have you ever wanted to write a novel?
Every November, tens of thousands of people try to write their own 50,000-word novel, from scratch, in 30 days.
It turns out, all you have to do is write 1,667 words a day for a month.
So I did. By the way, the secret is not to go to sleep until you've written your words for the day.
You might be sleep-deprived, but you'll finish your novel. Now is my book the next great American novel?
No. I wrote it in a month. It's awful.
But for the rest of my life, if I meet John Hodgman at a TED party, I don't have to say, "I'm a computer scientist."
No, no, if I want to, I can say, "I'm a novelist."
또 무언가를 정말 원한다면, 30일 동안 그게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혹시 소설을 써보고 싶은 마음이 든 적이 있나요?
매년 11월이 되면 수천 명의 사람들이 50,000자 정도의 소설 쓰기에 도전합니다. 아무것도 없이 그냥 처음부터요.
계산해보니 30일 동안 하루에 1,667자만 쓰면 되더군요.
그래서 전 시도했죠. 소설을 완성할 수 있는 비결은 1,667자를 쓰기 전엔 잠자리에 들지 않는 겁니다.
아마 당신은 수면 부족으로 고통받을지 몰라도, 소설은 끝까지 집필할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런 제 소설이 역사에 기록될만한 그런 소설이 될 수 있을까요?
절대 아니죠. 전 고작 한 달 밖에 투자를 안 했는 걸요. 아주 형편없죠.
하지만 제가 TED 파티에서 John Hodgman(존 호그만)을 만난다면,
전 언제든 제 자신을 컴퓨터 과학자라고 소개하는 대신 전 소설가예요!라고도 소개할 수 있게 되었죠.
From Scratch
- from the beginning, without using anything that already exist
- 처음부터
Sleep-deprived
- lacking something that is needed to live the way most people live
- not having the things that are necessary for a pleasant life, such as enough money, food, or good living conditions
- 수면 부족
So here's one last thing I'd like to mention.
I learned that when I made small, sustainable changes, things I could keep doing, they were more likely to stick.
There's nothing wrong with big, crazy challenges.
In fact, they're a ton of fun. But they're less likely to stick. When I gave up sugar for 30 days, day 31 looked like this.
So here's my question to you: What are you waiting for?
I guarantee you the next 30 days are going to pass whether you like it or not, so why not think about something you have always wanted to try and give it a shot!
For the next 30 days.
Thanks.
마지막으로 제가 하고 싶은 얘기는 이겁니다.
작지만 지속적인 변화들, 내가 계속해서 해나갈 수 있는 것들은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물론 원대하고, 누구도 상상 못 할 도전들이 잘못되었다는 건 아닙니다. 사실 그런 도전들도 재미있죠. 하지만 계속 해낼 가능성은 낮죠.
제가 30일 동안 설탕을 끊고 31일째 되던 날, 제 눈 앞엔 이런 광경이 펼쳐졌습니다.
여러분들께 질문하고 싶습니다. 왜 망설이십니까?
여러분이 좋든 싫든 앞으로 30일은 계속 흘러갑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항상 하고 싶었던 일들을 도전해보면 어떨까요?
딱 30일 동안 말이죠!
'02_ 이야기 STORY > 언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 the middle of (0) | 2020.03.19 |
---|---|
Pay off (0) | 2020.03.18 |
First come, first served (0) | 2020.03.15 |
Spare your feelings (0) | 2020.03.14 |
팬데믹 (Pandemic) 과 전염병 (Epidemic) (0) | 2020.03.12 |